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38

색채 기본상식 오늘은 색채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1. 원색: 빨강, 녹색, 파랑은 원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모든 다른 색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이를 RGB (Red, Green, Blue) 색상 모델이라고도 합니다. 이 모델에서 각 원색은 0부터 255까지의 값으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255, 0, 0)은 빨간색, (0, 255, 0)은 녹색, (0, 0, 255)는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2. 보색: 보색은 서로 반대되는 색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빨강의 보색은 초록이고, 파랑의 보색은 주황입니다. 이러한 보색 관계는 색상 바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상 바퀴에서 보색은 180도 차이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3. 삼원색: 빨강, 녹색, 파랑은 삼원색이라고도 불리며, 모든 색.. 2023. 11. 26.
디자이너를 위한 10가지 컬러 팔레트 사이트 1. Coolors (https://coolors.co/): 사용자가 직접 컬러를 조합하거나 랜덤한 컬러 팔레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만든 팔레트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2. Adobe Color (https://color.adobe.com/): Adobe의 컬러 팔레트 생성 도구로, 다양한 색상 조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이미지에서 컬러를 추출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3. Paletton (https://paletton.com/): 색상 조합을 만들고 시각적으로 미리보기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여러 가지 색상 조합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Color Hunt (https://colorhunt.co/): 다른 디자이너가 만든 인기.. 2023. 11. 21.
1점 투시,2점 투시,3점 투시 투시법 - 미술에서 한 점을 시점으로 하여 물체를 원근법에 따라 눈에 비친 그대로 그리는 기법 - 공간의 깊이와 원근감을 표현할 수 있는 도법 - 소실점의 수에 따라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 등으로 나뉜다 소실점이란? 消 사라질 소 失 잃을 실, 놓을 일 點 점 점, 시들 다 내 시선의 끝점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소실점과 연결된 선들이 깊이를 만듭니다 1점 투시 One point perspective 수평선 위에 있는 1개의 점(소실점)으로 모이는 수많은 사선들이 깊이를 만드는 투시법입니다. 가장 단순한 투시법으로 방이나 복도 등을 그릴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yogocode/222024448634 https://makeamarkstudios.com/h.. 2023. 10. 26.
포토샵 색상보정 Ctrl + Y : 모드변경(CMYK) 잠시 변경 Ctrl + L : Levels Ctrl + Shift + L : 자동 명도 보정 Ctrl + Alt + L : 이전 명도값 그대로 적용 Ctrl + M : Curves 위와 같음 Ctrl + U : Hue/Saturation Ctrl + B : Color Balance 스펀지툴 1. Saturate : 채도를 높임 2. Desaturate : 채도를 없앰 리퀴파이(형태보정) Liquify Ctrl + Shift + X 2023. 10. 7.
디자인 참고 사이트 http://www.gdweb.co.kr/ - 굿디자인 웹 https://www.behance.net/ - 비헨스 https://www.pinterest.co.kr/ - 핀터레스트 https://dribbble.com/ - 드리블 https://notefolio.net/ - 노트폴리오 2023. 10. 7.
디자인 자료 참고 사이트 https://logopond.com/ - 로고 이미지 https://pixabay.com/ko/ - 사진 사이트 https://www.freepik.com/ - 사진 사이트 https://unsplash.com/ - 사진 사이트 https://www.flaticon.com/kr/ - 아이콘 사이트 https://www.videvo.net/ - 영상 사이트 http://vidlery.com/ - 일러스트 영상 사이트 2023. 10.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