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크라인: 패턴 방향에 따라 지지선이나 저항선에 위치합니다.
강세에서 약세로의 추세 반전을 예측하는 특정 차트
헤드 앤 숄더
패턴은 바깥쪽 두 봉우리의 높이가 비슷하고 가운데 봉우리가 가장 높은 세 개의 봉우리로 구성된 차트 패턴을 갖는 기술 지표입니다.
오랫동안 강세 추세를 보인 후 가격은 최고점까지 상승한 후 하락하여 최저점을 형성합니다. 머리에서의 거래량이 왼쪽 어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거래량을 나타낸다면 이상적인 헤드앤숄터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오른쪽 어깨를 형성하고 넥라인을 하향 이탈할 때 거래량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넥라인 이탈과 함께 거래량이 급등하면 상승하던 추세가 하락 추세로 완전히 전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헤드 앤 숄더 차트는 강세에서 약세로의 추세 반전을 나타내며 상승 추세가 거의 끝나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헤드 앤 숄더 패턴 형성에 따라 가격은 목표 수준 이상으로 떨어지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T = N – (H – N), Where:
T – 목표 수준
N – 넥라인 수준 (시작 지원)
H – 패턴의 헤드 수준 (최고점)
하락 추세의 반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패턴
역헤드앤숄더
인버스 헤드 앤 숄더는 하락 추세가 곧 상승 추세로 반전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주가는 일시적인 반등을 제외하고 3회 연속 저점에 도달합니다. 바깥쪽 두 봉우리의 높이가 비슷하고 가운데 봉우리가 가장 낮습니다. 3차 하락 후 마지막 랠리는 약세 추세가 반전되었음을 의미하며 가격은 계속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패턴이 형성되고 가격이 목선(neckline, 넥 라인) 또는 저항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일정한 편차도 가능) 투자자는 매수 신호를 수신합니다. 현재 지지로 여겨지는 가격은 넥 라인으로 반등 할 수 있지만, 대체로 그 주변에서 멈출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버스 헤드 앤 숄더 패턴 형성 후, 가격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목표 수준까지 상승한다고 믿어지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T = N + (N – H), Where:
T – 목표 수준
N – 목선수준 (초기 저항)
H – 패턴의 머리 수준l (가장 낮은 바닥)
매수 신호 :
가격이 네크라인을 넘어설 때, 바람직하게는 거래량이 많을 때 또는 가격이 네크라인을 테스트하기 위해 돌아올 때 매수 포지션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목표가 :
네크라인에서 헤드의 최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하여 목표가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 값은 네크라인의 돌파점 거리에 추가됩니다
손절매 :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거래자는 오른쪽 어깨 또는 네크라인 약간 아래에 손절매 주문을 넣어 잠재적인 손실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포지션 크기 조정:
거래자는 위험 허용 범위 와 진입점과 정지 손실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거래 규모를 결정합니다 .
기술 분석 지표
이동 평균, RSI, MACD, 볼륨 오실레이터, 볼린저 밴드 및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가 있습니다.
이동 평균:
목적 : 전체적인 추세 방향을 파악하기 위함.
사용방법 :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교차는 강세 반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I:
목적 :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측정합니다.
사용 방법 : 70보다 높은 RSI 값은 특히 네크라인 돌파와 일치하는 경우 강세 모멘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CD:
목적 : 모멘텀과 추세방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 방법 : 강세 MACD 크로스오버는 추가 확인 신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Volume Oscillator:
목적 : 거래량 기준 추세의 강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용 방법 : 상승하는 볼륨 오실레이터는 강세 돌파를 확인하여 패턴에 신뢰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Fibonacci Retracement:
목적 : 잠재적인 지지 및 저항 수준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 방법 : 50% 또는 61.8% 되돌림 수준은 추가 확인 지점 또는 목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
목적 : 변동성과 잠재적 반전을 측정합니다.
사용방법 : 볼린저 밴드 상단에 닿는 가격 움직임은 강세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ochastic Oscillator::
목적 : 과매수 또는 과매도 조건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방법 : 일반적으로 확률론적 값이 80 이상이면 강세 모멘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금융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외 종가매매 방법과 종류 (0) | 2024.05.03 |
---|---|
주식 캔들 보는 방법, 양봉과 음봉 (1) | 2024.05.02 |
PBR (1) | 2024.05.02 |
포괄손익계산서란? (0) | 2024.03.26 |
한국판 SCHD,월배당 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종류 비교 (0) | 2024.03.17 |
대표적인 채권의 종류 (1) | 2024.02.22 |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과 특징, 잘 알고 투자하세요 (0) | 2023.12.12 |
대성하이텍, 전기차부터 방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정밀부품 기술력 발휘 (0) | 2023.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