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정보

목재의 종류와 등급 과 보관방법

by 쌈박한 노른자 2022. 9. 17.
반응형

목재의 종류

우리가 쓰는 원목의 대부분이 북유럽이나 남미, 러시아, 동남아 등에서 수입되며, 크게 하드우드와 소프트우드로 구분 짓는다. 또 색, 강도, 무늬에 따라 1~6등급으로 나눈다.

 

 

하드우드
성장이 느려서 밀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해 단단하여 가격대가 높다.

온대지방에 자라서 무르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활엽수의 나무들이 하드우드에 속한다. 쉽게 말해 계절별로 잎이 나고 떨어지는 게 특징이다.

 

반응형

 

 

1등급 흑단나무(에버니), 자단나무(로즈우드)
2등급 티크, 호두나무(월넛), 벚나무(체리), 마호가니
3등급 참나무(오크), 물푸레나무(애쉬), 자작나무(버취)
4등급 너도밤나무(비치), 느릅나무(엘름), 오리나무(엘더), 단풍나무(메이플)
5등급 고무나무(러버)

 

소프트 우드
침엽수로 성장이 빠르지만 밀도가 낮고, 가볍고, 가격대가 저렴하다.

6등급 삼나무, 편백(히노끼), 레드파인(적송), 미송, 스프러스(가문비나무)
가격은 등급이 높을수록 비싸지만 밀도도 강하고 결 또한 고급스럽다.

가구나 소품 DIY 재료로 쓰이는 건 6등급 나무들이 많다. 예외적으로 편백나무는 하드우드만큼 가격이 비싼 편이다. 가끔 편백나무의 마감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 있는데 마감을 하면 피톤치드라는 전용 항균 물질을 차단하게 되므로 그대로 사용해야 좋다.

 

제재목
• 통나무를 판재로 재단한 것이다. 일정 시간 건조 시켜 놓으면 수축팽창으로 변형이 발생한다.
• 원목별로 가격이 다르며 가구로 쓰기 위해선 많은 공정이 뒤따른다.

 

집성목
• 원목의 목재들을 일정 크기로 잘라 접착제로 붙여 넓은 판재로 만든다. 마구리를 보면 여러 원목을 붙여 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목이 가진 한계를 해결해 주어 가구에 자주 사용된다. 이런 집성목들은 3가지 방법으로 접합한다.

집성목 종류

 

솔리드원목의 한 방향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 형태.

 

핑거 양

 

사이드 핑거접합 부위가 옆면에 위치해 있으며, 솔리드와 탑 핑거의 중간 가격이다.

• 쥬얼과 무절: 나뭇가지가 자란 자리를 옹이라 한다. 표면에 옹이가 없으면 무절이며 유절 보다 가격이 높다.
• 크기는 1220mm, 2440mm. 두께는 12T, 15T, 18T, 24T가 주로 사용된다.

 

MDF
• 자투리 나무의 섬유조직을 분리해서 접착제와 섞어 고압으로 압착해서 만든다.
• 표면의 결이 균일하게 매끄러워 무늬목이나 필름을 입혀 사용한다.

 
PB/MDF 등급선진국 사용 기준포름알데하이드 평균 방산량 기준
E2 등급 실내 사용 금지 5mg/ℓ
E1 등급 실내 사용 면적 제한 1.5mg/ℓ
E0 등급 실내 사용 면적 제한 0.5mg/ℓ
Super E0 등급 실내 사용 0.3mg/ℓ

• 포름알데하이드(발암물질)는 방사량에 따라 E0~E1까지 있다(숫자가 낮을수록 방사량이 적음). 국내 시판되는 MDF는 E0보단 E1을 주로 사용하며 국내에서 법적으로 E2 자재는 생산할 수 없다.
• 가격도 저렴해서 인테리어에 많이 사용한다.
• 물이 묻으면 목재가 변형된다.

 

PB(파티클보드)
• 나뭇가루에 접착제를 넣고 압축해 판재로 만든다. 필름을 입혀서 가구나 싱크대 등에 많이 사용한다.

 

합판
• 원목을 얇게 켜서 여러 겹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적층 시켜 접착제로 붙인다.
• 변형이 적으며 건축 및 가구 등 다양하게 사용한다.

 

OSB합판
• 목조 주택이나 인테리어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한다.

 

목재의 치수

제재소나 목재소 또는 인터넷에서 구입하는 나무의 치수를 알아야 한다.

실생활에선 cm를 사용하지만 목공을 접하면 mm로 변환해서 표기한다. 1cm를 10 등분하면 1mm가 되는데 가구에선 1mm 오차도 큰 만큼 보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1000 ×400 ×18T로 표기되어 있다면 T는 나무의 두께를 의미하며 mm와 같은 단위이다(1T=1mm).

이 밖에 옛날 단위인 한‘푼’은 3.3mm, 한‘치’는 30.3mm, 한‘자’는 300.3mm와 같다.

목재를 사고팔 때는 재() 단위로 한다.

한 재 = 30 ×30 ×3600mm= 3,240,000

 

재() 계산 공식
재를 계산하는 간단한 방법은 모두 cm로 수치를 바꾸어서 입방으로 계산한 후 3240으로 나누면 된다.

만약 1 m×1 m×1m를 100 cm×100 cm×100cm로 바꾸어서 곱하면
1000000÷3240=308 재가 되어 약 삼백 재이다.

판재 두께 50 ×폭 300 ×길이 1000mm=5 ×30 ×100로cm로 바꾸어서 곱하면
15000÷3240=4 재이다.

 

나무 보관 방법

작업하기 위해 재단한 나무를 그냥 쌓아놓으면 점점 변형이 되어 낭패를 볼 수도 있다. 가구를 만들어서 놓으면, 서로 결합하고 있기에 큰 문제가 없는데 조립하기 전 판재나 넓은 집성목은 휘게 되어 있다.

• 재단한 판재를 보관할 때는 랩이나 끈으로 감아두고, 무거운 물건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해 줄 필요가 있다. 또 합판의 경우는 조금 낫겠지만, 집성목은 세워두면 힘을 받는 부분이 천천히 휘기 때문에 동일 사이즈끼리 눕혀서 보관하고, 위쪽은 다른 무거운 나무로 눌러주어야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목재구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