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외관 : 외부 구조재의 요소와 더불어 부지 위에 놓인 집의 전망.
- 박공 환기구 (gable vent) 박공 옆면의 개구부. 환기를 위해 뚫어 놓았다.
- 박공 (gable) 지붕의 측면을 지탱하는 벽의 위쪽 삼각형 부분.
- 테라스 (patio) 집에 붙어 있는 넓은 실외 지면. 사람들이 이용한다.
- 채마밭/텃밭 (vegetable garden) 식용식물을 기르는 작은 땅.
- 울타리 (fence) 부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나무 널빤지를 일렬로 세워 놓은 장벽.
- 관상수 (ornamental tree) 장식용으로 심은 나무.
- 대지경계선 (property line)
- 창고 (shed) 정원용 장비들을 보관하는 건축물.
- 비탈면 (grade slope) 높이가 다른 두 부지를 연결하는 경사면.
- 정원 통로 (garden path) 화단과 접해 있는 보도.
- 가장자리 화단 (border) 긴 네모 모양의 장식용 초본 꽃밭. 건축물이나 길을 따라 나 있다.
- 지붕창 (dormer window) 건축물의 지붕에 만드는 작은 창. 건축물로 빛을 들어오게 한다.
- 처마홈통 (gutter) 지붕의 아랫부분에 있는 노출 관. 빗물이 모여 선홈통으로 쏟아 내린다.
- 선홈통 (downspout) 빗물이 흘러내리는 수직관.
- 차고 (garage)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건축물.
- 진입로 (driveway) 주로 포장되어 있는 기다란 땅. 자동차가 지나가거나 주차를 하기 위한 곳이다.
- 현관 (porch) 집 출입구에서 덮여 있는 부분. 사람과 문을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한다.
- 보도 (sidewalk) 길과 접해 있는 보행자를 위한 길.
- 화단 (flower bed) 관상용 관목과 꽃들을 심어 놓은 곳.
- 잔디 (lawn) 짧고 두꺼운 풀이 덮인 땅. 정기적으로 깎아 주어야 한다.
- 산울타리 (hedge) 부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일렬로 심어 놓은 관목들.
- 지하창 (basement window) 최하층의 벽에 있는 개구부. 빛과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해놓은 것이다.
- 계단 (steps) 집 입구에서 계단참 끝까지 연결되는 외부 계단.
- 코니스 / 처마돌림띠 (cornice) 비로부터 벽을 보호하는 지붕에서 연장된 부분.
- 지붕 (roof) 비바람을 막아 주는 집의 덮개. 골조 위에 놓여 있다.
- 굴뚝 (chimney) 지붕에 솟아 있는 난방 장치의 일부. 이곳으로 연기가 빠져나간다.
- 굴뚝 갓 (chimney pot) 굴뚝의 맨 윗부분. 금속 한 조각으로 덮여 있다.
- 피뢰침 (lightning rod) 지붕에 설치된 금속 침. 번개를 땅으로 전도시켜 집을 보호한다.
- 천창 (skylight) 지붕과 통하도록 튀어나온 창문. 지붕 아래 방을 환기시켜 주고 빛을 비춘다.
지붕: 삼각형 구조를 이루어 경사지붕의 틀을 형성하는 부재들.
지붕을 지지한다.
- 왕대궁 (king post) 이음가로장을 떠받치며 합각을 버팀보에 연결하는 수직 부재.
- 측기둥 (side post) 합각을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작은 구성 요소.
- 마룻대 (ridge beam) 측기둥과 왕대궁이 놓이는 트러스 토대의 수평 부재. 측기둥과 왕대궁은 각각 합각을 지지한다.
- 버팀보 (strut) 합각을 떠받치며 합각을 왕대궁과 버팀보에 연결하는 대각선 부재.
- 합각 (principal rafter) 지붕틀의 대각선 부재. 서까래의 기능을 한다.
집 골조 :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건물에 안정감을 주는 부재들의 조합.
- 상인방 (header) 창의 개구부 상단에 있는 수평 부재. 지탱하고 있는 수직 하중을 인접한 박공기둥에 보내기도 한다.
- 박공기둥 (gable stud) 지붕의 하중을 이중깔도리로 보내는 수직 골조.
- 이중깔도리 (double plate) 기둥의 맨 위쪽 끝에 있는 이중 수평 부재. 천장 장선과 서까래도 지탱한다.
- 마룻대 (ridge board) 경사 지붕의 귀마루가 되는 들보. 여기에 서까래가 맞대어져 있다.
- 서까래 (rafter) 마룻대과 이중깔도리에 맞대어져 있는 경사지붕의 사선 방향 골조 부재. 지붕을 지지한다.
- 천장 장선 (ceiling joist) 천장 덮개가 붙어 있는 수평 부재. 천장의 경사 때문에 대부분 서까래에 붙어 있다.
- 덮개 (sheathing) 토대 역할을 하는 골조에 직접 부착하는 벽의 덮개. 골조에 다른 외장재를 못질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도 한다.
- 바탕 바닥 (subfloor) 바닥 장선 위에 놓인 널빤지나 합판. 그 위에 바닥 덮개가 놓인다.
- 버팀보 (strut) 2개의 샛기둥 사이에 놓인 부재. 기둥의 간격을 고르게 하고 안정성과 강도를 높인다.
- 토대판 (sill plate) 기초 벽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 그 위에 바닥 장선과 끝장선이 놓인다.
- 기초 (foundation) 지면 아래에 있으며, 벽 자체보다 더 넓은 벽의 일부. 벽을 지탱해 주며 주로 시멘트로 만들어진다.
- 기초판 (footing) 기초벽을 지지하는 확대 기초 부분. 대부분 시멘트로 만들어진다.
- 귓기둥 (corner stud) 골조의 모퉁이에 있는 튼튼한 기둥.
- 바닥 장선 (floor joist) 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덧도리와 토대판 위에 놓인 수평 부재.
- 끝장선 (end joist) 바닥 장선의 끝에 부착된 수직 부재. 외부 골조를 형성한다.
- 버팀대 (bridging) 장선들 사이에서 장선을 강화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조물. 2개의 부재가 X자 모양을 이룬다.
- 가새 (brace) 샛기둥을 강화하고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직 또는 사선 부재.
- 덧도리 (ledger) 대들보를 따라 놓인 수평 부재. 바닥 장선의 끝부분을 지지한다.
- 대들보 (girder) 특별히 튼튼한 수평 부재.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버팀벽으로 전달한다.
- 샛기둥 (stud) 이중깔도리를 떠받치기 위해 벽에 사용한 수직 부재. 여기에 벽 덮개가 붙는다.
- 창턱 (window sill) 창 개구부 아랫부분의 수평 부재.
집 기초 : 현장에서 시멘트나 석조로 하는 공사.
건축물의 하중을 견디고 그 하중을 바닥으로 전달하여 안정성을 준다.
- 벽기둥 (wall stud) 이중깔도리를 떠받치기 위해 벽에 사용하는 수직 부재. 그 위에 외장재를 붙인다.
- 단열재 (insulating material) 열이 외부로 손실되거나 한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재료.
- 바탕 바닥 (subfloor) 바닥 장선 위에 놓인 널빤지나 합판. 그 위에 바닥 덮개가 놓인다.
- 벽돌벽 (brick wall) 대개 구운 점토로 만든 벽돌로 이루어진 골조의 외장.
- 토대 (sill) 기둥 맨 아래 끝이 부착되는 수평 부재.
- 기초 (foundation) 지면 아래에 있으며, 벽 자체보다 더 넓은 벽의 일부. 벽을 지탱해 주며 주로 시멘트로 만들어진다.
- 자갈 (gravel) 물속에 있는 작은 가루들을 흡수하는 작은 자갈 층.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막아주고, 배수관을 제자리에 고정시켜 주기도 한다.
- 배수도관 (drain tile) 땅속의 물을 배수시키는 다공관. 젖은 토양 때문에 생기는 압력과 성에로부터 기초를 보호하기도 한다.
- 기초판 (footing) 기초벽을 지지하는 확대 기초 부분. 대부분 시멘트로 만들어진다.
- 토대판 (sill plate) 기초 벽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 그 위에 바닥 장선과 끝장선이 놓인다.
- 끝장선 (end joist) 바닥 장선의 끝에 부착된 수직 부재. 외부 골조를 형성한다.
- 바닥 장선 (floor joist) 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덧도리와 토대판 위에 놓인 수평 부재.
- 나무바닥재 (wood flooring) 정사각형 또는 가늘고 긴 목재조각으로 만들어진 실내 장식용 바닥 깔개.
- 몰딩 (molding) 바닥과 만나는 굽도리널에 부착된 마감 몰딩. 교차부분은 부채꼴이다.
- 굽도리널 (baseboard) 벽 아랫부분에서 돌출된 나무 널빤지. 벽과 바닥 사이의 연결 부위를 가린다.
- 덮개 (sheathing) 토대 역할을 하는 골조에 직접 부착하는 벽의 덮개. 골조에 다른 외장재를 못질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도 한다.
계단 : 층과 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
- 보호난간 (banister) 계단이나 층계참의 트인 쪽과 경계를 이루는 일련의 막대와 난간대.
- 머리 장식 (cap) 엄지기둥 상단의 장식물.
- 구스넥 (goose-neck) 난간대 끝부분의 세부장식.
- 난간대 (handrail) 계단을 오르내릴 때 잡는 보호대의 윗부분.
- 계단참 (landing) 두 계단 사이에 있는 대 또는 난간이 있는 계단의 맨 위쪽에 있는 대.
- 안쪽 계단옆판 (closed stringer) 사선 방향으로 눈금이 팬 나뭇조각. 계단의 단과 챌판을 지지하고, 그들의 양끝을 에워싼다.
- 한 줄로 이어진 계단 (flight of stairs) 2개의 층 사이나 2개의 계단참 사이, 또는 바닥과 계단참 사이에 있는 일련의 계단들.
- 초단 (starting step) 한 줄로 이어진 계단의 맨 아래 단.
- 계단폭 (step groove) 계단의 너비.
- 엄지기둥 (newel post) 계단의 맨 위나 맨 아래에서 난간대를 받치고 있는 튼튼한 기둥.
- 난간동자 (banister) 난간대를 지지하여 안전하게 해주는 작은 목재 조각.
- 굽도리널 (baseboard) 벽 아랫부분에 튀어나온 나무 널빤지. 벽과 바닥 사이의 연결 부위를 가린다.
- 디딤판 (run) 계단코는 제외하고 연이은 두 챌판 사이를 측정한 계단의 폭.
- 바깥쪽 계단옆판 (open stringer) 계단의 단과 챌판에 맞게 자른 사선방향의 나뭇조각. 난간동자의 단 끝부분을 지지한다.
계단의 단 : 디딤판과 챌판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부분.
- 계단코 (nosing) 아래쪽의 챌판 위로 약간 나와 있는 디딤판의 끝부분.
- 챌면 (rise) 연이은 두 디딤판 사이의 수직 길이.
- 디딤판 (tread) 오르내릴 때 발을 딛는 수평 부분.
- 챌판 (riser) 디딤판 아래의 수직면. 앞면을 이룬다.
'인테리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면 선의 종류 치수 , 도형 치수 기입 방법 (0) | 2022.09.17 |
---|---|
가구와 인테리어 종합 사이트 (0) | 2022.09.17 |
집 골조 실내인테리어 용어 (0) | 2022.09.16 |
커튼과 유리창문용 커튼 용어설명 (1) | 2022.09.16 |
실내 인테리어 나무바닥재와 배열 종류 (0) | 2022.09.16 |
욕실 실내 인테리어 용어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2.09.16 |
창문,문의 부품(프레임, 손잡이 및 힌지 다이어그램 포함) (0) | 2022.09.16 |
인테리어 리모델링 계약 시 체크 해야 할 리스트 (안보면 손해) (0) | 2022.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