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정보

커튼과 유리창문용 커튼 용어설명

by 쌈박한 노른자 2022. 9. 16.
반응형


출처 : Britannica Visual Dictionary © QA International 2012.( www.ikonet.com ) All rights reserved.

창문 앞에 있는 장식용 천이며, 때로는 여러 층의 커튼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 덧휘장 (overdrapery) 다른 커튼을 덮는 커튼.
  • 걸이 장치 (holdback) 커튼 띠를 걸기 위해 벽에 부착되는 부품.
  • 얇은 커튼 (sheer curtain) 빛이 투과되어 방으로 들어올 수 있는 가벼운 직물 소재의 커튼.
  • (tassel) 줄 커튼띠의 장식적인 끝부분.
  • 줄장식 띠 (cord tieback) 커튼 띠로 사용되는 땋은 줄.
  • 주름 휘장 (draw drapery) 창문 앞에 늘어뜨리는 장식 천. 빛을 투과시키거나 막고 사생활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 장식 덮개 (cornice) 단단한 천이나 판지에 매다는 기다란 섬유 조각. 커튼 대를 덮어서 가린다.

출처 : Britannica Visual Dictionary © QA International 2012.( www.ikonet.com ) All rights reserved.


창문 앞에 설치하는 커튼. 하나 혹은 조합하여 여러 방식으로 매달 수 있다.

 
  • 코타지 커튼 (cottage curtain) 커튼 띠로 창문 옆에 고정하는 커튼. 대개 가장자리에 주름 장식이 되어 있다.
  • 카페 커튼 (café curtain) 창문의 가운데에 봉이 있는 커튼. 사생활을 보호해 주면서도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해준다.
  • 주름 장식 (ruffle) 커튼 가장자리를 장식한 주름 잡은 직물 조각.
  • 커튼 띠 (tieback) 커튼을 붙들어 매고 지지하는 기다란 천이나 끈.
  • 장식천 (valance) 커튼 대를 가려 주는 주름 잡힌 기다란 직물.


커튼 : 헤딩의 예

플리티드 헤딩일정한 간격으로 주름이 잡힌 헤딩.

펜슬 플리트 헤딩관 모양으로 작은 세로 주름이 잡힌 헤딩. 주름은 직물에 바느질된 두 가닥의 실을 잡아당겨 만든다.

셔드 헤딩리본에 꿰어진 실을 잡아당겨 주름을 만든 헤딩.

드레이프드 스왜그커튼 앞에 설치하여 봉을 가리는 기다란 천. 주름이 늘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주름: 커튼에 볼륨감을 주기 위한 천의 구김.

상자 주름천을 양쪽으로 접어 뒤쪽이 서로 만나도록 해서 둥근 형태를 이루는 주름.

맞주름2개의 주름이 직물의 뒤쪽에서 만나 형성되는 주름.

핀치 주름3개의 주름을 하나로 묶기 위해서 한데 꿰매어 이루어진 주름.



커튼의 예

 

어태치트 커튼2개의 커튼 대에 매단 커튼. 직물의 위와 아래에 주름이 잡혀 있다.

교차형 커튼고정시키는 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커튼.

루스 커튼싱글 커튼대에 매달린 커튼. 주름이 풍성하게 내려온다.

풍선형 커튼블라인드처럼 위로 들어올린 커튼. 주름이 모여 부풀어 보이게 한다.

 

 



차광천을 감아 올릴 수 있는 스프링이 장착된 롤러가 있는 셰이드.

  • 롤러 (roller) 스프링을 감싸는 용기. 차광천으로 싸여 있다.
  • 둥근 끝 핀 (round end pin) 롤러의 끝부분에서 축으로 작동하는 부품. 브래킷 안쪽에서 회전한다.
  • 브래킷 (bracket) 롤러 핀을 삽입하여 셰이드를 지지하는 부품.
  • 차광천 (shade cloth) 창문을 덮는 비닐 또는 뻣뻣한 천 조각.
  • 배튼 (batten) 차광천의 테두리에 삽입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좁고 납작한 나무 부품.
  • 테 / 가장자리 (hem) 배튼을 삽입한 차광천의 테두리.
  • 코일 스프링 (coil spring) 차광천이 내려질 동안 팽팽해졌다가 그것이 느슨해지면 끌어당기는 기구.
  • 납작한 끝 핀 (flat end pin) 스프링의 장력과 그것을 멈추는 기구를 조절하는 롤러의 끝부분.
  • 감아올림 장치 (winding mechanism) 차광천을 감아올리고 내리는 스프링 기구.


베니션 블라인드

조절식 수평 날개판으로 만들어진 셰이드. 높이 및 방향 조절 기구가 달려 있다.

  • 드럼 (drum) 끈과 날개판이 움직이도록 해 주는 원통형 기구.
  • 날개판 경사 조절관 (tilt tube) 드럼이 회전하는 관.
  • 헤드레일 (headrail) 셰이드 기구를 포함한 홈이 있는 금속 막대. 창문 앞쪽의 블라인드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 날개판 경사 조절장치 (lath tilt device) 날개판경사조절관을 회전시키는 데 사용되는 막대.
  • (cord) 날개판 경사 조절장치와 높낮이 조절끈으로 작동하는 끈 시스템. 날개판을 지지하고, 날개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며 그것들을 끌어올린다.
  • 보텀 레일 (bottom rail) 날개판보다 무거운 막대기로 셰이드를 손쉽게 낮추도록 해 주는 밸러스트 역할을 한다.
  • 손잡이술 (tassel) 조절끈의 끝부분에서 끈의 매듭을 숨겨 주는 장식물.
  • 조절 버클 (equalizing buckle) 셰이드를 수평으로 조절해 주는 부분.
  • 날개판 (lath) 알루미늄,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얇고 평평한 조각. 셰이드의 한 부분을 구성한다.
  • 높낮이 조절끈 (lift cord) 셰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을 맞춰 주는 이중 끈.
  • 높낮이 조절끈 잠
  • 금장치 (lift cord lock) 셰이드를 원하는 높이에 유지시켜 주는 기구.


조정할 수 없는 날개판으로 만든 셰이드. 끈과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 말아 올린다.



천 뒤에 있는 고리를 통해 미끄러지는 줄에 의해 올라감으로써 층진 주름이 생기는 셰이드.

 
 
 
 
 
이미지지 출처 : Britannica Visual Dictionary © QA International 2012.( www.ikonet.com )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