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주식 정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폭탄 피하는 방법

by 쌈박한 노른자 2023. 11. 25.
반응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폭탄을 피하는 방법

.

.

해외주식시장에 (비)상장된 외국법인의 주식을 매매함에 따라 발생되는
해외주식 양도차익은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으로 자진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양도차손 발생시에도 신고하셔야 합니다.

국내 양도세 대상인 대주주, 장외, 비상장주식 매매차손익과 해외주식 매매차손익은 합산 정산하여 신고하셔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계산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는 1년간 순이익의 250만원까지는 비과세입니다. 즉, 25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를 납부해합니다.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
1년간 매수/매도한 모든 거래내역 전체를 합산해서 부과
양도소득 = 매도가액 - 매수가액 - 매매비용,
양도소득세 = 양도소득 × 세율
세율은 일반적으로 22% (지방세 2% 포함)입니다.



1. 양도이익 계산: 양도이익 = 판매 가격 - 취득 가격
양도이익은 판매한 주식의 가격에서 구매한 주식의 가격을 뺀 값입니다. 예를 들어, 해외에서 구매한 주식을 1,000달러에 팔았고, 구매 가격은 800달러였다면 양도이익은 1,000 - 800 = 200달러가 됩니다.


2. 양도세액 계산:  양도세액 = 양도이익 x 양도세율
양도세액은 양도이익에 양도세율을 곱한 값입니다.

※양도세율: 해외주식 양도세율은 일반적으로 22%입니다. 하지만 해외주식은 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를 합산한 종합과세가 적용되기 때문에, 실제 양도세율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도이익이 200달러이고 양도세율이 22%라면
양도세액은 200 x 0.22 = 44달러가 됩니다.



3. 세금 신고
양도소득세는 소득세 신고서를 통해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신고서 작성 시 양도이익과 양도세액을 기재하고, 해당 규정에 따라 납부 기한을 지켜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계산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복잡한 절차와 규정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세무 담당자나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를들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취득가액:1,000만원, 양도가액:1,500만원, 필요경비(매매수수료 등) 5만원인 경우
산출세액 = 53만9천원
[(양도가액(1,500만원) - 취득가액(1,000만원) - 필요경비(5만원)) - 기본공제(250만원)] * 22%


https://taxly.kr/calc/foreign-stock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기 | TAXLY.KR

세금은 어렵지만 TAXLY는 쉬워요

taxly.kr






신고납부기간

매년 1월1일 ~ 12월 31일 기간 내 매도(결제일 기준)한 내역에 대해 다음해 신고기한(5월1일~5월31일)내 자진신고납부
기한 내 미신고, 미납부 시 가산세 부과
신고불성실 가산세 : 과소신고시 10%, 무신고시 20%
납부불성실 가산세 : 미(과소)납부세액*미납일수*0.03%




신고납부방법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는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연말정산을 통해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연말정산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https://taxly.kr/calc/foreign-stock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기 | TAXLY.KR

세금은 어렵지만 TAXLY는 쉬워요

taxly.kr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절세방법

분산 매도, 재매매, 주식 증여 등의 방법을 통해 양도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Key Points

○ 해외주식 환차익은 매매차익에 포함되어 과세
○ 해외주식 양도소득금액 100만원 초과 발생시 부양가족 공제 제외
○ 해외주식 양도소득은 건강보험과 관계 없음
○ 양도차익 공제범위 이내 혹은 양도차손 발생 시에도 신고할 것
○ 두 군데 이상의 증권사에서 거래하는 경우, 모두 합산해 신고할 것
○ 증권사 별 신고금액이 차이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할 것
○ 한국과 해당 국가에서 모두 부과될 수 있다
이중과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세금조약에 따라 면제 또는 감면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1.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고 조언
세금 전문가는 각 국가의 세금 규정을 이해하고, 개별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세금 전략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2. 국가 간의 세액 조정 혜택 활용 여부 확인
몇몇 국가는 해외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국내 세금과 조정하여 중복 과세를 방지하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투자 수익을 최대화하고 세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을 구체화
이는 투자 기간, 매매 전략, 양도 시점 등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 전에 충분한 연구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세금에 대한 충분한 예산을 마련, 예상치 못한 세금 부과에 대비
해외주식에 투자할 때는 양도소득세를 고려하여 예산을 계획하고, 예상치 못한 세금 부과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세요.
단일 종목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종목에 분산하여 투자하세요. 이를 통해 투자 수익을 안정화시키고 양도소득세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6. 세금 우수국에 투자하세요.
일부 국가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낮게 부과하거나 면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에 투자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본인의 세금 상황과 국가 간의 세금 협정을 확인하여 최적의 투자 결정을 내리세요.

7. 세금 피난처를 활용하세요.
세금 피난처는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자자가 국가를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법적인 측면과 세금 규정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결정해야 합니다.

8. 주식 보유 기간을 고려하세요.
일부 국가는 주식 보유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인 경우 양도소득세를 면제하거나 감면하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주식 보유 기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세요.

9. 세금 관련 법규를 준수하세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피하기 위해 부적절한 세금 회피 방법을 사용하면 법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세금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세요.

10.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피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의 세금 상황과 가능한 옵션을 검토하세요. 세금 전문가는 세금 법규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최적의 세금 전략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11. 세금 감면 및 면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일부 국가는 특정 업종이나 투자 유형에 대해 세금 감면 또는 면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을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국가별 세금 감면 및 면제 혜택에 대해 충분한 연구를 수행하세요.

12. 세금 환급 관련 절차를 이해하세요.
해외주식 거래로 인한 양도소득세를 납부한 경우 일부 국가는 세금 환급 절차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세금 환급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절차와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따르세요.

13. 최신 세법 개정 사항을 주시하세요.
세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최신 세법 개정 사항을 주시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활용하여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세요. 이를 위해 세금 관련 뉴스와 세무사의 조언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14. 국제 세금 계획을 수립하세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피하기 위해 국제 세금 계획을 수립하세요. 이는 다양한 국가 간의 세금 협정 및 투자 전략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제 세금 계획을 수립하려면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안을 찾으세요.

이러한 팁과 조언을 활용하여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피하고 투자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금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법적인 요소가 포함되므로 세금 전문가와 상담하고 법적인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득가액 계산 방법

취득가액 계산 방법은 증권사마다 다르게 이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선입선출, 후입선출, 이동평균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계산됩니다.

- 선입선출 (FIFO) : 먼저 매입한 주식부터 먼저 매도되는 방식입니다.
- 후입선출 (LIFO) : 가장 최근에 매입한 주식부터 먼저 매도되는 방식입니다.
- 이동평균법 : 매수한 주식의 평균단가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취득가액 계산 예시로 테슬라 주식을 이용해 설명하겠습니다.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매입 : 1주를 100달러에 매입
- 두 번째 매입 : 추가로 1주를 500달러에 매입
- 매도 : 1주를 700달러에 매도

선입선출의 경우,
첫 번째 매입한 주식을 먼저 매도하므로
양도차익은 700-100 = 600달러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이 금액의 22%인 132달러입니다.

후입선출의 경우,
두 번째 매입한 주식을 먼저 매도하므로
양도차익은 700-500 = 200달러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이 금액의 22%인 44달러입니다.

이동평균법의 경우,
매수한 주식의 평균단가인 (100+500) / 2 = 300달러를 적용 매도 하므로 양도 차익은 700-300 = 400달러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이 금액의 22%인 88달러입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주가가 상승한 경우 후입선출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주가의 상승 폭이 좁아진다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예시로, 주가가 하락하여 200달러에 매도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선입선출의 경우,
양도차익은 200-100 = 100달러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이 금액의 22%인 22달러입니다.

후입선출의 경우,
양도차익은 200-500 = -300달러이며 손실로 확정되므로 별도의 세금납부는 없지만 신고는 필요합니다.

이동평균법의 경우,
양도차익은 200-300 = -100달러이며 손실로 확정되므로 세금납부는 없지만 신고는 필요합니다.

증권사, 매매 타이밍 등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하므로 수익을 확정짓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실을 확정짓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