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5

[주식기초] 코스피(KOSPI)이란? 코스닥(KOSDAQ)이란? 코스피(KOSPI)이란? - 중견기업, 대기업이 주로 상장되어 있다. - 주가의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작다. - 기관, 외국인등 자금력이 큰 메이저들이 주로 투자한다. - 대략 780개의 기업 코스닥(KOSDAQ)이란? - 벤처기업, 중소기업등이 주로 상장되어 있다. - 주가의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 주로 개인들이 투자하고 있다. - 대략 1280개의 기업. 주식에 투자할수 있는 기업은 코스피기업 790 + 코스닥기업 1280 = 2070 즉, 대략 2070개의 기업에 투자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이렇게 나누어져 있지만, 실질적인 매매에서는 코스닥, 코스피 상관없이 똑같이 매매가 가능 합니다. 2022. 7. 27.
만원권 , 오만원권 위조 지폐 위조방지장치 확인법 간단하게 확인하세요! 2022. 7. 26.
전략적인 사업목표를 설정하기전에 기회영역설정에 대한 종합정리 사업 목표서( 워크시트 첨부) 개념 사업목표서 작성은 목표산업에서 기업의 역량을 고려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는 활동이다. 주로 매출과 이익률 상승, 시장점유율 상승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목적 사업목표서를 작성함으로써 내부 역량과 외부 활동의 지향점을 구체화하고, 기간에 따른 항목별 성과와 진행, 발전 단계를 시각적으로 관리하며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포지셔닝 맵, 마케팅 플랜, 채널 관리 목표 등의 실천적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부 역량 자원(R&C)과 핵심성공 요인(KFS), 구매 결정 요인(KBF)을 정리하고, 재무 정보와 ROI의 관계를 수익성과 연관 지어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표는 우선순위를 따져서 기간 안에 반드시 성취될 몇 개로 집중해야 한다.(.. 2022. 7. 26.
사용자 분석 관찰 기법 및 조사방법 (상세 탐색 계획표,현장 조사 가이드,관찰기록장 워크시트 첨부) 개념 관찰 기법은 관찰 대상자의 행동과 경험을 현장에서 직접 관찰해보면서, 관찰 대상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문제가 발생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하는 기법이다. 관찰 기법은 정성조사이며 문화인류학적인 조사의 한 기법으로서 사용자 중심 조사 중, 심층 인터뷰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이다. 목적 프로젝트 목적에 따른 특정한 행동 (예, 쇼핑, 게임, 인터넷 사용, 운전, 운동, 제품 사용 등) 관찰을 통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니즈를 발견하기 위함이다. 특정 문제에 직면한 사용자가 자기만의 독특한 행동으로 해결 방안을 적용한 경우, 이를 비즈니스 컨셉 또는 아이디어로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자 할 때 많이 활용된다. 다양한 관찰 기법 A.E.I.O.U 관찰.. 2022. 7. 26.
디자인동향 분석의 목적, 참고 사이트 6곳 (워크시트 첨부) 개념 디자인동향 분석은 사회, 경제, 문화,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 콘텐츠, 서비스 등 일상생활의 라이프스타일에서 드러나는 변화 요인에 대한 동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다. 디자인동향(Trend)은 유행(Fad)과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다양한 현상을 일으키므로 단순하게 정의하거나 판단하기 쉽지 않으며, 유행은 보통 6개월에서 1년의 기간을 유지하고 트렌드는 3~10년 정도 유지하나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다. 목적 디자인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여 신상품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략의 도출이나 디자인 방향을 수립할 때 디자인 키워드 도출의 기반 자료가 되며 컨셉 스케치, 렌더링 등 시각화.. 2022. 7. 26.
STEEP 분석 개념과 목적 개념 STEEP 분석은 Social (사회/문화), Technology (기술/정보), Economy (경제), Ecology (생태적인 환경) 및 Policy (정책/법규)의 5가지 거시적 영역에서 변화의 요인 및 변화 핵심 동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기술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으로 PEST 분석에 Ecology(생태적인 환경) 요소가 추가된 개념이다 . http://needjarvis.tistory.com/41 목적 분석 도출된 변화 요인 및 핵심 동인을 기준으로 기업에게 기회와 위협요소를 점검하고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업의 신상품 기획 개발부터 마케팅믹스 전략, 기업 내부의 정책 등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절차 1 메가트렌드 데이터 마이닝 문헌.. 2022.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