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자인 전략
디자인 요소에 대한 구체적 전개 방향을 정립하고 향후 디자인 방향의 일관성과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이다.
디자인 전략은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가?
- 해결해야할 문제나 가능성을 정의해야할 때
- 만들어질 제품의 주요한 차별점을 결정해야할 때
- 조직에 구체화된 전략을 설명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할 때
- 제품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발 일정과 프로젝트 기획을 해야할 때
개념
- 디자인 트렌드 및 사용자 조사/분석을 통해 정리된 신상품의 아이디어와 컨셉을 디자인에 잘 담아낼 수 있도록 디자인 각 요소에 대한 방향성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으로, 디자인 요소는 제품군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자 조사 또는 관련분야 사전조사를 통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세부 조정이 필요하다.
목적
- 타겟 유저가 공감하는 스토리와 사용자 경험, 인터페이스, 조형, 소재, 색상, 패턴 등 디자인의 차별성과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디자인의 방향성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와 소통하여 프로젝트 컨셉과 정렬된 디자인에 집중함으로써 디자인 품질과 아이덴티티를 확보할 수 있다.
대표사례
아래 워크시트 자료를 다운 받아서 대표사례를 보고 실습해보도록 하자.
3_1_1_2.xlsx
0.01MB
3_1_1_3.xlsx
0.01MB
반응형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디어를 소통하고 이해시키는 가장 최소의 단위, 브레인 캔버스 (워크 시트 첨부) (0) | 2022.07.25 |
---|---|
상세페이지 가이드 템플릿 psd 다운받기 (템플릿 사이즈, 이미지사이즈, 간격 등 상세가이드가 포함) (0) | 2022.07.25 |
브레인 스토밍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5 |
상세 페이지 제작 가이드 (psd 첨부) (0) | 2022.07.25 |
브레인 스토밍, 브레인 라이팅, 스캠퍼 발상법, 만다라 발상법 등 여러가지 아이디어 발상 방법 (0) | 2022.07.25 |
실시간으로 브라우저의 뷰포트 사이즈를 알려주는 사이트 (0) | 2022.07.23 |
2. 가독성을 위한 웹 타이포그래피의 9가지 원칙 (0) | 2022.07.04 |
1. 타이포그래피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