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간과 어간
*자간(글자 사이): 낱자와 낱자 사이의 공간 또는 간격
*어간(낱말 사이): 낱말과날말사이공간(띄어쓰기 공간)
■자간은 독자가 문장을 보고 읽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영향 자간이 너무 붙거나 너무 벌어지면?
-독자가 읽는 데 피로감을 느낌
-가독성에 영향을 줌
-지면이 아름답지 못함
■독자는 글자의 묶음으로 문장을 이해함
■ 평균적으로 -15pf 정도의 자간을 주는 것이 이상적
■ 영문은 보편적으로 자간을 주지 않음
■ 명조 계열이 고딕 계열의 활자보다 글자 공간이 많아 좀 더 좁게 하는 것이 보편적임
■한 줄 한 줄의 글줄이 모여서 하나의 면 형성
■ 어간은 날말과 낱말 사이의 공간
■행 속에서 낱말들을 리듬감 있게 조화시키는 역할
■과도하게 넓은 어간은 시선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방해
■ 너무 좁은 어간은 낱말의 구분이 어려움
* 활자의 크기가 큰 헤드라인 사용 시 주의
행간과 행장
*행간(글줄 사이): 글의 줄 과줄 사이
*행장 : 글줄 길이
■글줄 사이의 간격은 흰 공간의 수평선
■글줄이 길수록, 활자의 크기가 클수록, 복잡한 서체일수록 더 넓은 행간 요구
■작은 서체는 넓은 글줄 사이를 사용해야 작은 서체로 인한 답답함이 해소
■글줄이 넓을수록 시각적인 명암이 밝아짐 여러 개의 글줄이 하나의 면
■ 정상 행간
-글줄이 길수록, 활자의 크기가 클수록, 복잡한 서체일수록 더 넓은 행간 요구
■ 넓은 행간
-흰 공간이 글자보다 중요하게 인식
-글을 읽기에 힘듦
■좁은 행간
-글을 유도하는 횐 수평선이 없어짐
-상하의 글줄에 압박되어 글을 따라 읽기 어려워짐
■활자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글줄의 굵기가 달라지며 명암 형성
■독서하는데 불편을 주지 않는 적절한 글줄 길이가 중요
■행장이 길면 독자의 눈의 이동을 주로 하게 하여 독서에 어려움을 줌
■행장이 짧으면 눈의 이동을 번번하게 하여 독서에 어려움을 줌
■글줄이 길수록 더 큰 행간 필요
무게감
*무게감 : 획의 굵기
■ 획의 굵기
■ 획의 굵기가 가늘어지거나 굵어지면 가독성에 영향
■ 너무 가늘 거 나 두꺼운 서 체를 사용하는 경우?
- 공간과 글자의 공간이 글을 읽기 쉽지 않게 함
■ 배경이 있고 없음에 영향이 있음
■상황에 따른 무게감을 선택해야 함
■ 강조할 때 혼용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자폭
*자폭(장, 폭) : 글자의 폭(Width)
■폭(Width)이 좁은 활자는 본문 내용이 많아서 공간을 확보해야 할 때 효과적임
■문자 폭이 너무 좁거나 넓으면 가독성 감소 및 디자인적으로 부자연스러움 유발
■문자 폭이 좁은 활자들은 도표 같은 용도에 적용
■ 영문과 한글의 문자 폭은 개념이 다르므로 시각적인 안정감에 기준을 둔 선택 필요
정렬
1) 왼쪽 맞추기
■ 많은 양의 텍스트를 다룰 때 이상적임
■ 어간이 일정하여 가독성이 높음
■핸폭이좁을경우효과적임
■장점
-시각적 흥미 유발 -지루함 방지
■ 단점
-다른 행의 길이가 레이아웃을 방해
2) 오른쪽 맞추기
■오른쪽이 정돈되고 왼쪽이 흘려진 상태
■ 일정 한어 간
■극히 짧은 문장에 흥미로운 레이아웃을 탄생시킴
■ 왼쪽이 가지런하지 않아 큰 혼란을 겪고, 각 행의 서두를 찾기 이해 잠시 머뭇거리게 되어 피로감을 줄 수 있음
3) 양끝 맞추기
■ 단락의 양끝이 모두 일직선상에 나란히 정렬된 상태
■행의 정렬에서 독자에게 가장 친숙한 방법
■ 가장 이상적이며 대부분의 글들은 거의 양끝 맞추고 I로 조판
■ 내용이 많을 때 적합(소설 등)
■장점
- 디자인보다는 내용에 집중
■ 단점
-흰 강 현상이 발생해 독서 효과 저하
양끝을 강압적으로 맞추면서 생기는 어간의 사이가 일정치 않아 여백에 횐 강이 흐르는 듯이 넓어져서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현상
4) 가운데 맞추기 (Centered)
■중앙을 기준으로 모든 행들을 대칭시키는 정렬 방식
■ 적은 양의 텍스트를 처리할 경우에 바람직함
■품위 있고 고급스럽거나 은유적인 느낌을 자아냄
■장점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실루엣 탄생
■ 단점
-다음 행의 서두를 찾는데 어려움
문단의 구분
문단: 내용이 타이포그래피적으로 구별되어 크게 끊어진 단위 - 내용을 명확하게 하여 독자의 이해를 증진
리딩 (Leading): 문단 사이에 공간을 추가하여 서로를 분리
인덴트 (Indent):문단첫머리들여 쓰기
이니셜 (Initial): 머 리 글자, 독자를 텍스트로 안내하는 역할
딩벳 (Dingbat) 采 O향,<3, 옳 務: 문단 부호, 문단 사이에 놓여 있는 문단 구분, 꽃무늬 부호, 그래픽 부호 등
색상 (Color):문단에 따라 색상 적용
문장의 속성 변화:첫 문장이나 중요한 문장에 시각적 속성을 변화시키는 방법
타이포그래피 고려사항
■ 한 면에 많은 서체를 사용하지 않음 -전체 디자인의 일관성
-동일한 서체 안에서 서체 굵기 -동일한 서체 안에서 서체 크기 ᅳ 변화를 통한 정도의 차별화 필요
■ 가독성에 비중을 두어야 함
-타이틀, 본문, 캡션 등은 차별이 되는 서체 선택 -타이틀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활자 사용
-본문은 적절한 크기와 무게의 활자로 읽히는데 어려움이 없는 서체 사용
-레지 빌리티 (Legibility)
— 글자 한 자 한 자 가십 게 읽히는 정도 -리더 빌리티(Readability)
ᅳ 문장이나 디자인 면의 가독성 -큰 글씨 > 작은 글씨-가로>세로
■ 적절한 자간 및 행간을 사용
- 너무 붙어 있으면 눈의 쉼터가 없어 답답하고 가독성이 떨어짐
■ 적절한 글줄 길이(줄간)필요
-글줄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으면 지루하고 피곤함 제공
■ 디자인 콘셉트에 맞는 서체 사용
-서체의 선택에 따라 디자인 전체의 이미지 좌우
■사용되는 서체들의 조화 고려
-개성이 다른 서체들의 부조화는 산만하고 혼란스러운 디자인
타이포그래피의 종류
■ 바탕체(명조체)
-인쇄물의 기본이 되는 서체
-가독성이 뛰어나 본문 서체로 선호도가 높음
-획의 시작과 끝맺음 부분에 세리프가 있음
-부드러움
■돋움체(고딕체)
-세리프가 없음
-가로획과 수직획이 수직과 수평이고 굵기가 일정함 -힘차고 강력하여 제목용으로 많이 사용
■이탤릭체
- 특정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 대문자와 소문자
- 대문자는 강조 시 사용, 소문자는 글의 내용 몰입에 유리
- 세리프는 명조 계열의 활자, 산세리프는 고딕 계열의 활자
차이점
1) 가독성
말 그대로 읽기 쉬운 정도
즉, 글을 읽고 지각하는 과정의 성공도를 말한다. 행간이나 자간 조정, 글자의 크기 등이 영향을 미친다
2) 판독성
읽기 쉬운가 이전에 특정 형태가 다른 형태와 명확히 구별이 되는가의 정도
즉, 각 글자나 기호의 형태가 얼마나 이해하기 쉽고 알아보기 쉬운가 하는 것이다. 기울기, 색깔, 획폭, 엑스하이트 등이 영향
3) 시인성
눈에 쉽게 보이는 정도를 말한다.
대상물의 존재 또는 모양이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성질을 말한다. 배경과 글자의 명도 차이가 클수록 시인성이 높다
4) 주목성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힘이 강한 정도, 일반적으로 명도가 높은 색은 주목성도 높다.
채도가 높을수록 주목성이 높다. 그러나 배경색에 의해 달라 보일 수 있다.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세페이지 가이드 템플릿 psd 다운받기 (템플릿 사이즈, 이미지사이즈, 간격 등 상세가이드가 포함) (0) | 2022.07.25 |
---|---|
브레인 스토밍 아이디어 스크리닝 보드(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5 |
상세 페이지 제작 가이드 (psd 첨부) (0) | 2022.07.25 |
디자인 방향의 일관성과 정체성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전략 수립 방법(실습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5 |
브레인 스토밍, 브레인 라이팅, 스캠퍼 발상법, 만다라 발상법 등 여러가지 아이디어 발상 방법 (0) | 2022.07.25 |
실시간으로 브라우저의 뷰포트 사이즈를 알려주는 사이트 (0) | 2022.07.23 |
2. 가독성을 위한 웹 타이포그래피의 9가지 원칙 (0) | 2022.07.04 |
[포토샵 기초] 포토샵 인터페이스 도구 툴 이해하기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