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 재무 분석이란 회사 경영에서 쓰이는 자본,부채, 자산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다. 각종 운영비로 나가는 지출과 판매 대금 등으로 들어오는 매출액 등을 체크하는 것은 신제품 로드맵 설정, 생산량 조절, 신제품 개발 등의 기업 사이클을 점검하는 것이다.
목적
- 이해 관계자들에게는 재무상태와 경영 성과 공시를 하고 그 밖에 투자 타당성 검토, 경영 계획 수립 및 경영 의사 결정을 위한 기초 자료 획득이 주요 목적이다.
알아두기
- 자본(equity)이란 주주로부터 조달된 자금을 말한다. (순자산이나 자기 자본이라고도 함)
- 부채 란 채권자로부터 빌린 자금을 말한다.
- 자산은 손익계산에 관한 회계학적 개념으로 수익에 대한 것을 의미하며 비용으로서 소비되고 수익에 의하여 회수된다. 따라서 자산은 소비되었으나(즉 현실적 이용성이 없으나), 아직 수익으로 전환되지 않고 비용으로서 유보되어 있는 것, 즉 차기 이후에 수익으로 전환할 것도 역시 가치가 인정되어 자산의 개념에 포함된다.
(자산 = 자본(자본금 + 잉여금) + 부채) - 비용이란 대체로 실제 사용된 비용인 '명시적 비용'을 뜻한다. (이를 회계 비용이라고도 함)
- 수익(收益, revenue)은 주요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본(순자산)의 증가액이다.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므로, 수익이 발생했다는 것은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가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익 금액은 공급한 것의 공정 가치가 아니고, 수취 대가의 공정 가치로 측정된다. 인식 시기는 거래 형태별로 다양하다.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잔액을 이익이라고 한다.
자본, 부채, 자산, 비용,수익의 정의 참고
- https://platum.kr/archives/67130
- : http://www.srac.co.kr/me05_03.html
- :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B3%B8
손익 추정 및 목표 원가 산정
- 타겟 사용자를 기준으로 잠재 사용자 수를 추정한다.
- 당사 신제품이 대체하고자 하는 제품 혹은 유사 연관 제품의 판매 수량을 조사하여 현재까지의 침투율을 계산한 후, 당사 신제품 출시 및 미래 경쟁사의 대응 등으로 인해 향후 3~5년 내 연간 침투 변화(신규 확대)를 추정한다.
- 당사 신제품 출시 이후 향후 3~5년간 당사가 전체 신규 시장에서 연간 몇 %의 시장 점유율을 가져갈 지 가정한다. (기존 시장의 리더, 예상 경쟁사 등의 M/S와 당사의 마케팅전략을 고려하여 결정)
- 당사의 신제품이 대체하고자 하는 제품/서비스 시장에서 소비자가를 조사한 후, 사용자의 지불 여력을 고려하여, 당사의 예상 소비자를 가정한다. (단 향후 3~5년 내 가격인상 요인이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하여 추가)
- 당사의 채널 전략에 따른 평균 최대 수수료(즉, 유통사에 지급하게 될 마진)을 조사하고 3~5년 내 변경 가능성까지 추정한다.
- 유사 제품의 평균 혹은 회사에서 목표로 정의한 마진율을 활용해서 목표 마진율(Gross Profit)을 설정한다.
- 유사 제품의 평균 판관 비율 혹은 당사의 기존 사업 평균 비율로 매출액대비 판관 비율을 설정한다.
투자규모 추정
- 핵심 컨셉 검증에서 결정하는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투자 규모를 제품 개발 기간 동안 연도별 투자금액으로 산출한다.
- 신제품 출시 이후 사업화에 필요한 투자(생산설비, 부동산, IT 시스템 개발) 시점과 금액을 산출한다.
- 투자 규모 추정 시트에 해당되는 내용에 대해 투자년도별 투자 금액을 입력하되, 음의 값으로 입력 (ROI, NPV 등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ROI 시뮬레이션
- 예상 판매 수량 추정= 전체 잠재고객수 * 침투율 * 예상시장점유율
- 공급단가= 소비자가 * (1 - 유통수수율)
- 추정 매출액= 예상 판매 수량 * 공급단가
- 목표 제조 원가= 추정 매출액 * (1 - 목표 마진율) / 예상 판매수량
- 목표 영업이익= 추정매출액 * (목표 마진율 - 평균 판관비율)
손익 추정 및 목표 원가 산정 워크시트
워크시트의 내용이 어렵다고 느껴지면, 신제품 개발을 위한 비용을 산출한다는 생각으로 비용 목록을 작성해보는 것도 좋다.
양산형 모델 개발비, 마케팅 비용 등등 자신이 아는 비용내역들을 가지고 제품 개발비를 산정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투자규모 추정 워크시트
Year 1에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가정
신제품 개발 기간이 3년 이하라는 가정에서 투자규모 추정시트를 작성했으므로, 만약 그 이상인 경우 열을 추가해야 함
ROI 시뮬레이션 워크시트
목표영업이익과 총투자비는 각각 손익 추정 및 목표 원가 산정 시트와 투자규모 산정 시트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해서 복사해 옴
감가상각비와 Huddle Rate를 입력하면 현금흐름, NPV, IRR은 자동 계산됨
현금흐름 = 목표영업이익 + 총투자비 +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실제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아니므로 ROI 계산에서 현금흐름에 추가)
(단, y-2, y-1, y0의 경우 투자만 발생할 것이므로 투자비를 음의 부호를 붙여 직접 입력함)
엑셀 함수를 이용해서 NPV 값을 계산할 경우 Year N년도의 NPV=NPV(Huddle Rate(상수), 현금흐름 Year-2: 현금흐름 Year+N)
엑셀함수를 통하 IRR 값 계산 식 = IRR(현금흐름 Y-2: 현금흐름 Year+5)
재무분석
- 상록회계법인 : http://www.srac.co.kr/me05_03.html
경영컨설턴트가 보는 세상
- 신사업 기회에 대한 사업타당성 분석 : http://aliahn.tistory.com/44
도서
- 신규사업 타당성분석 노하우(이원훈 지음) : https://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9549462
- '스타트업이 알아야 할 회계/재무 관련 용어 정리' 내의 설명과 사례들을 보면 이해가 됩니다. : https://platum.kr/archives/67130
반응형
'경제·금융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풀어주는 경제 신문 읽는 법 [킹 좋음] (0) | 2022.07.27 |
---|---|
기초부터 공부하기 좋은 무료 주식 공부 사이트 [킹좋음] (0) | 2022.07.27 |
[주식기초] 주식 증권 통장 계좌 개설 방법 (0) | 2022.07.27 |
[주식기초] 코스피(KOSPI)이란? 코스닥(KOSDAQ)이란? (0) | 2022.07.27 |
중소사업자/ 근로자 / 영세 사업자를 위한 2022 세금 정약 가이드 (0) | 2022.07.21 |
신풍제약 (피라맥스 주식전망 주가조작 찌라시 임상) (0) | 2022.07.20 |
폰지사기란 / 높은수익률 / 루나코인 / 다단계 사기 / 투자사기 (0) | 2022.06.30 |
에코프로비엠 주가/ 무상증자 일정 / 권리락 (0) | 2022.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