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테리어 정보11

실내 인테리어 나무바닥재와 배열 종류 나무로 된 바탕 바닥에 의해 지지되는 나바닥재. 마루널 (floorboard) 다른 것들과 조립하면 무늬를 이루는 나무오리. 바탕 바닥 (subfloor) 바닥 장선 위에 놓인 널빤지나 합판. 그 위에 바닥 덮개가 놓인다. 장선 (joist) 바닥을 떠받칠 목적으로 덧도리와 토대판 위에 깐 수평 부재. 시멘트 층에 의해 지지되는 나무바닥재. 마루널 (floorboard) 장식 패널을 형성하는 작은 목재 조각. 같은 유형의 목재 조각들을 조립하여 만든다. 방음물질 (insulating material) 충격소음을 완화시키는 시멘트 스크리드 아래에 있는 층. 주로 펠트나 코르크로 만든다. 시멘트 스크리드 (cement screed) 실내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유지시켜 주는 시멘트 층. 접착제 (glue) 나무.. 2022. 9. 16.
욕실 실내 인테리어 용어 자세히 알아보기 미닫이문 (sliding door) 일련의 홈을 따라 수평으로 미는 문의 판 또는 판들. 스프레이 호스 (spray hose) 샤워기 머리를 움직이게 하는 유연한 관. 샤워기 머리 (shower head) 물이 압력을 받아 흘러나오는 다공 장치. 샤워실 (shower stall) 물이 분무되어 나와 몸을 씻을 수 있는 위생 기구가 있는 공간. 샤워기 머리 (portable shower head) 다공성 샤워기 머리가 달린 가동 손잡이. 특히 머리를 헹굴 때 사용한다. 수도꼭지 (faucet) 온수나 냉수를 흐르게 하거나 멈추게 하고, 물이 흐르는 속도도 조절하는 장치. 넘침구멍 (overflow) 물의 높이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세면대에서 흘러넘치는 물을 빼내는 배수관. 거울 (mirror) 빛을 반사하.. 2022. 9. 16.
건축 인테리어 기초 집구조 용어 집외관 : 외부 구조재의 요소와 더불어 부지 위에 놓인 집의 전망. 박공 환기구 (gable vent) 박공 옆면의 개구부. 환기를 위해 뚫어 놓았다. 박공 (gable) 지붕의 측면을 지탱하는 벽의 위쪽 삼각형 부분. 테라스 (patio) 집에 붙어 있는 넓은 실외 지면. 사람들이 이용한다. 채마밭/텃밭 (vegetable garden) 식용식물을 기르는 작은 땅. 울타리 (fence) 부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나무 널빤지를 일렬로 세워 놓은 장벽. 관상수 (ornamental tree) 장식용으로 심은 나무. 대지경계선 (property line) 창고 (shed) 정원용 장비들을 보관하는 건축물. 비탈면 (grade slope) 높이가 다른 두 부지를 연결하는 경사면. 정원 통로 (garden .. 2022. 9. 16.
창문,문의 부품(프레임, 손잡이 및 힌지 다이어그램 포함) 문 용어 https://www.homestratosphere.com/door-parts/ Parts of a Door (Incl. Frame, Knob and Hinge Diagrams) A door, whether a front door or interior door of a home is a complicated component to the home as you'll see in our various parts of a door diagrams below which includes illustrations of www.homestratosphere.com 창문 https://www.homestratosphere.com/window-parts/ 2022. 9. 16.
인테리어 리모델링 계약 시 체크 해야 할 리스트 (안보면 손해) 1. 시공업체 정보를 서류로 확인하기 1) 계약서와 함께 받을 서류 - 사업자 등록증 사본 - 공사 면허증 사본 - 공사 금액을 지급할 회사 통장사본 2) 계약서에 써야 하는 항목 - 계약하는 업체 당사자의 서명과 인장 - 찾아갈 수 있는 영업 소재지 주소 * 서로를 더 믿기 위해서라도 서류를 받는 편이 좋다. 2. 착공일과 공사 완료일 정하기 말로만 이야기하고 넘어가지 말고 언제부터 시작하고 언제 끝날지 정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공사가 늦어지더라도 문제를 제기할 수 없으니 반드시 계약서에서 짚고 넘어가도록 한다. * 턴키(Turn-key) 리모델링이라면 인테리어 공정표를 요구한다. 자세하면 자세할수록 좋다. 자세하면 자세할수록 좋다. 3. 지체보상금(지연손해금) 항목 집어넣기 업체는 돈을 제때.. 2022.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