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무지외반증
엄지발가락의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이 두번째 발가락 쪽으로 과도하게 휘고 엄지발가락과 관절을 이루는 중족골은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이다. 발가락이 발등 쪽으로 휘거나 엄지 발가락 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는 변형을 동반한 삼차원적으로 변형된다.
2. 원인
무지외반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1) 선천적 요인
원위 중족 관절면 각이 과다한 경우, 평발과 넓적한 발, 원발성 중족골 내전증, 과도하게 유연한 발 등
2) 후천적 요인
신발 코가 좁은 신발 또는 하이힐 등의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3) 유전학적 요인
모계 유전의 확률 , 류머티즘 관절염의 합병증 등
3. 증상
-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의 돌출 부위의 통증으로 이 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
- 이차적으로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의 발바닥 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
- 심한 경우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 발가락과 겹쳐지거나 관절이 탈구
4. 진단/검사
무지외반증은 외형적 변형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면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X-ray, CT, MRI 검사를 시행한다.
1) 의사의 진찰
-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 돌출 정도
-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의 겹침 정도, 관절 자체의 통증 여부
-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 아래의 굳은살 및 통증 여부, 관절 탈구 여부
- 새끼 발가락 쪽의 돌출 여부, 관절 운동 범위, 아킬레스 건 단축 여부, 편평족 여부,
- 전체적인 관절 유연성 여부 등
2) 방사선 소견
발에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변형된 각을 측정하고 관절의 퇴행성 변화 여부를 관찰한다.
5. 치료
무지외반증 환자의 치료 여부는 환자의 불편함 정도와 의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결정하고,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이며 아무리 변형이 심하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1) 보존적인 치료
돌출 부위를 자극하지 않고 발가락 쪽이 넓고 굽이 낮은 신발이 추천되며 운동화를 신는 것이 가장 좋다.
엄지발가락의 돌출 부위 및 두 번째 세 번째 발가락 아래가 자극되지 않도록 신발 안에 교정 안창을 넣기도 한다.
2) 수술적 치료
수술법은 돌출 부위의 뼈를 깎아내고 내외 측으로 치우친 뼈를 잘라서 각을 교정하며 짧아진 근육 및 연부 조직을 늘려주는 것이다. 매우 다양한 수술법이 있고 각각의 장단점으니 환자의 나이, 변형의 심한 정도, 환자가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선택하고 결정한다.
< 수술 전 고려해야 할 점 >
수술 부위에 흉터가 남으며, 수술 후에도 하이힐 등의 불편한 신발은 신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6. 경과/합병증
대개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의 형태를 3가지로 나누어 전위, 상합 성, 아탈구(약하게 탈구됨)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1) 상합 성인 경우
변형이 발생하거나 진행하지 않는다.
2) 전위 또는 아탈구 된 경우
변형이 증가하며, 특히 아탈구된 경우에는 변형이 뚜렷하게 발생한다.
3) 합병증
- 엄지발가락이 옆으로 휘어 관절에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져 퇴행성 관절염 발생
- 엄지발가락이 지지해야 할 발바닥 압력이 2, 3번째 발가락으로 옮겨지면서 발바닥쪽에 굳은 살이 생성
- 발가락 뼈 사이의 신경이 붓고 통증이 발생하는 지간신경종이 합병
7. 예방방법
- 발가락 부위가 넓고 굽이 낮은 신발을 착용
- 평발 환자의 경우 발바닥 안쪽을 지지해주는 안창 사용
- 발가락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주며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 돌출 부위(건막류)를 보호해주는 발가락 보조기 착용
8.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증상이 없고 변형 정도가 작은 대부분의 무지외반증은 수술이 필요 없으므로 변형을 악화시키는 신발을 피하고 편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건강·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여성질환 주의보! 질염의 종류 (0) | 2022.05.25 |
---|---|
몸 컨디션, 상황별 목욕 온도로 건강 챙기는 방법 (0) | 2022.05.25 |
변비의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 변비개선에 좋은 음식까지 (총정리) (0) | 2022.05.25 |
혓바늘이 자주 돋는 이유와 예방방법?! (0) | 2022.05.23 |
노출의 계절 여름! 보기 싫은 튼살 원인과 증상 , 튼살 없애는 방법 (0) | 2022.05.23 |
가슴 통증 발생의 원인 및 증상과 종류별 질환 알아보기 (0) | 2022.05.22 |
산부인과 질환 (0) | 2022.05.22 |
족저근막염 (0) | 2022.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