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

전략적인 사업목표를 설정하기전에 기회영역설정에 대한 종합정리 사업 목표서( 워크시트 첨부)

by 쌈박한 노른자 2022. 7. 26.
반응형

개념

  • 사업목표서 작성은 목표산업에서 기업의 역량을 고려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하는 활동이다.
  • 주로 매출과 이익률 상승, 시장점유율 상승을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세부 목표를 설정한다.

 

목적

  • 사업목표서를 작성함으로써 내부 역량과 외부 활동의 지향점을 구체화하고, 기간에 따른 항목별 성과와 진행, 발전 단계를 시각적으로 관리하며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포지셔닝 맵, 마케팅 플랜, 채널 관리 목표 등의 실천적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 또한, 내부 역량 자원(R&C)과 핵심성공 요인(KFS), 구매 결정 요인(KBF)을 정리하고, 재무 정보와 ROI의 관계를 수익성과 연관 지어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표는 우선순위를 따져서 기간 안에 반드시 성취될 몇 개로 집중해야 한다.(기업의 역량과 자원은 유한하다)

도서’피터드러커의 경영수업’

 

방법

  • 목표산업을 설정하고 기업 내부 역량을 종합 점검한다.
  • 사업목표설정서 작성 : 매출/이익, 시장 점유율을 목표로 설정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코어보드를 작성한다.

  • 목표를 예측하기 전에 반드시 리뷰와 대책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 리뷰를 하면서 어떤 점은 잘했고 어떤 점은 못했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잘 공략하고 있는지, 사용자들의 불만 사항은 없었는지, 배송 및 A/S 이슈도 점검한다.
  • 연간 목표의 경우, 거시적인 경제 지표, 경기 선행 지수 등을 파악하고 글로벌 서비스의 경우는 전 세계의 변수들을 예측하여 한 해의 영업 목표를 조율한다

기회영역에 대한 종합

  • 전략적인 사업목표를 설정하기전에 기회영역설정에 대한 종합정리를 실시함

 

사업목표 설정서 작성

  • 사업목표 설정 : 매출/이익, 시장점유율 중심으로 작성한다.
  • 사업목표 달성을 위한 마케팅 세부 목표 (Marketing Mix Planning)가 설정되어야 한다.

 

위닝 제품의 컨셉 개념도

 

 

목표관리 프로세스

MBO : MBO의 기본 과정은 구체적인 조직목표, 개인 목표 등 목표설정 및 계획수립, 중간평가, 최종 평가 등의 순환과정으로 구성된다.


사업목표서 워크시트

- 처음에는 조사한 내용과 아는 범위의 정보로 작성한다

1_5_1_1.xlsx
0.01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