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 디자인동향 분석은 사회, 경제, 문화,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 콘텐츠, 서비스 등 일상생활의 라이프스타일에서 드러나는 변화 요인에 대한 동인을 분석하여 미래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esCDh/btrH76j2puO/X6bde2RDGuoSKwosMUOuw0/img.png)
- 디자인동향(Trend)은 유행(Fad)과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다양한 현상을 일으키므로 단순하게 정의하거나 판단하기 쉽지 않으며, 유행은 보통 6개월에서 1년의 기간을 유지하고 트렌드는 3~10년 정도 유지하나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다.
목적
- 디자인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여 신상품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략의 도출이나 디자인 방향을 수립할 때 디자인 키워드 도출의 기반 자료가 되며 컨셉 스케치, 렌더링 등 시각화 과정에서 영감을 촉진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디자인 조형, 소재, 색상, 표면처리, 인터페이스 등을 결정하기 위한 비교 및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방법
- 프로젝트에 영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키워드와 관련 이미지를 찾는 것이 중요하며 처음부터 너무 한정적으로 접근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국제, 사회,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동향을 조사하고 이해하면 프로젝트의 전략을 합리적이고 명확하게 도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 디자인동향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항상 트렌드와 관련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차
1자료 수집
- 인터넷, 신문, 잡지, 책, 보고서, 전시, 세미나 등에서 소개되는 자료와 다양한 기관의 트렌드 자료를 검색하고 프로젝트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 변화의 동인을 탐색하고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프로젝트에 맞는 자료를 구성한다.
- 공통 이슈로 수집된 자료는 키워드를 설정하고 색, 소재, 형태 등의 트렌드로 대표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 및 메시지를 정리한다.
사이트 참고
디자인동향 분석 워크시트
디자인동향 분석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파악된 내용을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자사 내부의 다양한 여건 등을 고려해서 적용가능 여부 등을 검토하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디자인동향 보고서를 link하여 제공함 / 전문가들에 의하여 조사된 산업별 동향 내용을 참조 / 현장·동향 정보 / 디자인 트렌드/ 트렌드 리뷰 : http://www.designdb.com/?menuno=785
- KDP 보고서 / 전략 보고서
선행 디자인 상품 개발을 위한 메가트렌드 조사 연구 (마켓 별 제품 디자인 선호 실태 및 소비자 소비 유형 분석)
(1) 감성 디자인 활용 선행 조사 / (2) 주요 마켓 조사/ 분석 / (3) 조사 데이터 처리 및 가공 / (4) 감성 Trend 연구
http://www.designdb.com/?menuno=790&bbsno=7590&act=view&ztag=rO0ABXQAND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kxIiBza2luPSJwaG90b19iYnMiPjwvY2FsbD4%3D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cn=JAKO200723421068391&dbt=JAKO&koi=KISTI1.1003%2FJNL.JAKO200723421068391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cn=JAKO201730049612282&dbt=JAKO&koi=KISTI1.1003%2FJNL.JAKO201730049612282
반응형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검색 등록 방법 pdf (0) | 2022.10.31 |
---|---|
상세페이지 의류 사이즈 조견표 실시간 다운로드 저장 할수있는 사이트 (0) | 2022.07.27 |
전략적인 사업목표를 설정하기전에 기회영역설정에 대한 종합정리 사업 목표서(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6 |
사용자 분석 관찰 기법 및 조사방법 (상세 탐색 계획표,현장 조사 가이드,관찰기록장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6 |
STEEP 분석 개념과 목적 (0) | 2022.07.26 |
경쟁사제품 분석( 워크시트 첨부) (0) | 2022.07.26 |
사업 기술 검토 단계의개념, 목적과 절차 (워크시크 첨부) (0) | 2022.07.25 |
투자 및 개발을 위한 최종 의사 결정을 위한 시장성 검토 (0)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