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셉 작성 및 선정은 선택된 초기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사업화를 검토할 수 있는 하나의 완성된 개념으로 정의하고 미래에 기업이 도달할 수 있는 목표에 달성할 수 있는지를 사전적으로 검토하는 단계이며 해당 방법론에는 퍼소나와 시나리오가 있다.
컨셉 작성 및 선정은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가?
제품의 사용자를 정의하고자 할 때
제품의 사용자에게 핵심가치를 제공해주고자 할 때
선택된 초기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사업화를 검토할 수 있는 하나의 완성된 개념으로 만들고자 할 때
실현 가능한 가치 제공 솔루션으로 범위를 좁혀야 할 때
개념
퍼소나(Persona)는 어떤 제품을 사용할 만한 유사한 사용 패턴을 지닌 사용자 그룹의 대표 정의를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다.
퍼소나란 잠재적 사용자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 끝에 세워지는 전형이다.
퍼소나는 프로젝트 조사 단계 가운데 수집된 의견을 분석하고 사용자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퍼소나는 목표 고객(Target user)을 모델링한다고 할 수 있지만, 마케팅에서 칭하는 타깃 고객과는 달리 행동이나 제품의 사용 목적 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개념으로, 마케팅에서의 사용자 세그먼트는 '구매'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퍼소나는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퍼소나는 조사된 자료와 인사이트 사이의 ‘직관’을 모델링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정신분석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은 ‘인간은 천 개의 퍼소나(가면)를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퍼소나를 쓰고 관계를 이루어 간다’고 정의하였고, 인터랙션 디자이너인 앨런 쿠퍼(Alan Cooper)는 자신의 저서 ‘정신병원에서 뛰쳐나온 디자인(The Inmates Are Running the Asylum)에서 퍼소나를 처음 소개하였다.
목적
사용자 그룹을 유형별로 정의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그룹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자세한 이해도를 돕기 위함이다.
사용자 그룹의 주요 가치를 찾고 서비스의 목적과 방향을 잡기 위함이다.
프로젝트 구성원(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논의 방향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소통을 하기 위함이다.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운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사용자 시나리오(Use case)로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절차
1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사용자의 공통점 찾기
이전의 조사 활동을 통해 수집한 고객의 감정, 태도, 동기 등을 나열한다.
나열된 정보의 유사점과 특성 등을 기준으로 고객을 분류한다.
분류한 고객 그룹의 대표성을 띠는 한명의 퍼소나를 만든다.
진행하는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2명 이상의 퍼소나를 만들 수도 있다.
2 고객의 특성을 반영한 퍼소나 만들기
선정한 고객을 더욱 생생하게 만들기 위해 세부 사항을 기재한다.
인적사항(이름, 나이, 거주지 등)부터 행동적 특징, 성격, 목표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앞선 사용자 조사를 토대로 상황에 따른 실제 인물의 태도와 동기, 특성 등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워크시트로 퍼소나를 정리하고 공유하기
워크시트를 활용해 완성한 퍼소나를 정리한다.
문제와 관련 없는 가상인물이 설정되지는 않았는지, 억지스러운 캐릭터는 아닌지, 다수가 동의할 만한지 등을 점검하고 수정한다.
주안점
현재 기획하고 있는 제품의 특징과 부합해야 한다. 누구를 위한 디자인인가? 핵심 대상(주제와 가장 관계된 사람들)과 확대 대상(연관성이 있거나 핵심 대상과 관련된 사람)에 대하여 고려해 본다.
수집된 데이터나 기술적, 사회적, 법률적 전제조건도 만족시켜야 한다.
일반 사람들이 읽었을 때 재미있고 직관적이어야 한다.
제품과 관련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전형적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특성, 숙련도,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용 가치나 사용성의 속성, 감성적인 요소와 사회적 의미성 등이 간단하지만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은 정성 및 정량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므로, 신뢰성 있는 조사가 기반되어야 한다.
분석자의 임의대로 재 구성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주관적으로 편향되지 않는 퍼소나를 뽑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연령이나 직업에 따른 단순한 퍼소나는 지양해야 한다.
퍼소나 모델링 시 개수는 대체적으로 3~7개 정도의 모델링을 하는 편이지만 , 개수에 연연하기 보다는 타겟 그룹이 몇 개인지, 모두 대표하려면 몇 개의 퍼소나가 적당할지를 고려하여 모델링 하여야 한다.
퍼소나를 대표하는 사진을 사용 시 사용자의 습관이나 태도, 실제 생활 배경을 반영한 사진을 찾아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