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공자를 위한 디자인 노트

STEEP 분석 개념과 목적

by 쌈박한 노른자 2022. 7. 26.
반응형

개념

  • STEEP 분석은 Social (사회/문화), Technology (기술/정보), Economy (경제), Ecology (생태적인 환경) 및 Policy (정책/법규)의 5가지 거시적 영역에서 변화의 요인 및 변화 핵심 동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기술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으로 PEST 분석에 Ecology(생태적인 환경) 요소가 추가된 개념이다 .
    http://needjarvis.tistory.com/41

 

목적

  • 분석 도출된 변화 요인 및 핵심 동인을 기준으로 기업에게 기회와 위협요소를 점검하고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업의 신상품 기획 개발부터 마케팅믹스 전략, 기업 내부의 정책 등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절차

1 메가트렌드 데이터 마이닝

문헌 조사

  • 정부, 사설 연구기관 보고서
  • 미래기술동향 보고서
  • 기술관련 논문
  • 국내외 미래예측 도서 등

http://www.some.co.kr/bigdata
(키워드로 트렌디한 정보를 구하는 연습을 해본다.)

2 1 차 동인 추출
  • 문서 수집 후 트렌드 주요 내용 추출
  • 내용을 형태 소단위 분석 후 중요 키워드(동인) 추출
3 2차 동인 그룹핑 및 STEEP별 분류
  • STEEP별 분류 및 중복 키워드 그룹핑 작업
  • 2차 동인 추출
4 3차 동인 분류
  • 용어결합
  • 주제 클러스터링 : 2차 동인들을 유사성을 갖는 그룹끼리 묶고 동인으로 재분류 및 추출

STEEP 분석 워크시트

거시적인 동향 파악을 통해 자사의 기회 요인과 위협요인을 분석해 경영 방향에 대한 도움이 되는 분석 활동이다.
(주로 트렌드 자료를 조사하는 것이 대중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 취합의 방법이다.)
 
 
  •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으로 인한 자사 중심의 시사점을 적는다.
  • 분석을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 FAROUT
  • 다음에 제시하는 6가지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면 의사결정권자들이 분석결과에 대해 만족할 수 없게 된다.

  • Future orientation (미래 지향적) : 분석 방법은 과거지향적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 Accuracy (정확성) : 정확한 분석 결과를 창출한다.
  • Resource efficiency (자원 효율성) : 데이터 수집 비용이 결과물 가치보다 적게 들어야 한다.
  • Objectivity (객관성) : 가설의 편향성, 집단적 사고를 유의한다.
  • Usefulness  (유용성) : 알 필요가 있는 결과를 개발하여 니즈를 충족시키고 결과를 도출한다.
  • Timeliness (시의 적절성) : 걸리는 시간, 데이터의 수명 등을 고려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